맨위로가기

파라볼라 안테나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파라볼라 안테나는 전파를 반사하여 초점에 모으는 포물반사면과 이를 수집 및 전송하는 피드 안테나로 구성된 안테나이다. 작동 원리는 포물면 반사체의 초점에 있는 무선파가 반사체의 축을 따라 평행한 평면파 빔으로 반사되는 것이다. 종류로는 동축 반사형, 오프셋형, 카세그랭 안테나, 그레고리언 안테나 등이 있으며, 반사판의 모양에 따라 포물면형, 원통형, 형상 빔 안테나로 구분된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주로 UHF보다 짧은 파장의 전파에 사용되며, 다중 무선 통신, 위성 통신, 전파 천문학 등에 활용된다. 이득은 안테나 구경과 파장에 따라 결정되며, 구경이 클수록 이득이 커진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높은 지향성과 광대역 특성을 가지며, 측면 및 후방으로의 누설이 적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안테나 - 다이폴 안테나
    다이폴 안테나는 두 도체 팔로 구성되어 전류 흐름으로 전자기파를 방출하는 가장 기본적인 안테나로, 반파장 다이폴 형태가 일반적이며 임피던스 정합이 중요하고 다양한 안테나의 기본 요소 및 변형 형태로 활용되고 안테나 어레이를 통해 지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안테나 - 스마트 안테나
    스마트 안테나는 디지털 신호 처리 기술로 안테나 방사 패턴을 제어하고 간섭을 억제하여 무선 통신 시스템의 효율성과 신뢰성을 높이는 기술로, 빔포밍에서 MIMO 기술로 발전했지만 개인 정보 수집 및 공정 경쟁 문제에 대한 논란도 있다.
파라볼라 안테나
개요
포물면 반사판 안테나의 주요 구성 요소
포물면 반사판 안테나의 주요 구성 요소
유형반사기 안테나
설명
사용 분야라디오 망원경
레이더
위성 통신
무선 네트워킹
관련안테나 (라디오)
혼 안테나
카세그레인 안테나
초고주파
밀리미터파

2. 디자인

파라볼라 안테나는 포물반사면과 피드 안테나로 구성된다.[26] 포물반사면은 전파를 반사하여 초점에 모으고, 피드 안테나는 초점에 모인 전파를 수집하거나 전파를 방출한다. 포물반사면은 포물체의 일부를 사용하며, 가장자리는 보통 원형이다.[26] 송신 안테나의 경우, 송신기에서 발생한 고주파 전류는 전송선을 통해 피드 안테나로 전달되고, 피드 안테나는 이 전류를 전파로 변환하여 포물반사면으로 보낸다. 포물반사면에서 반사된 전파는 평행 빔을 형성한다. 수신 안테나에서는 들어오는 전파가 포물반사면에서 반사되어 초점에 모이고, 피드 안테나에서 전송선을 통해 라디오 수신기로 전달되는 전류로 변환된다.[2][5]

파라볼라 안테나의 작동 원리는 전도성 물질로 된 포물면 반사체의 초점 앞에 있는 전파의 점 광원이 반사체의 축을 따라 평행한 평면파 빔으로 반사된다는 것이다.[4] 반대로, 축에 평행하게 들어오는 평면파는 초점에 있는 한 점으로 집중된다.

2. 1. 종류

파라볼라 안테나는 반사체의 형태와 피드 안테나의 배치 방식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 동축 반사형 (Axial 또는 Front feed): 포물선의 꼭짓점이 반사면의 정 중앙에 위치한다. 설계는 쉽지만, 피드 안테나와 지지대가 반사면의 일부를 가려 효율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28] 개구 효율은 55~60% 정도이다.[6]
  • 오프셋형 (Off-axis 또는 Offset Feed): 포물선의 꼭짓점을 벗어난 구간으로 반사면을 만든다. 초점이 반사면 밖에 위치하므로 반사면 전체를 활용할 수 있지만, 설치 시 전파원의 방향을 고려해야 한다.[29]
  • 카세그레인 안테나: 포물면 초점에 이중 반사경을 설치하고, 피드 안테나는 반사면 쪽에 부착한다. 주로 전파망원경과 같이 큰 파라볼라 안테나에 사용된다.[30] 개구 효율은 65~70% 정도이다.[6]
  • 그레고리언 안테나: 카세그레인과 유사하지만, 초점의 반사면을 타원면으로 만들어 효율을 높였다. 카세그레인의 수신 효율이 60 - 70%인 반면, 그레고리언 안테나는 그 이상이다.[28] 개구 효율은 70%를 넘을 수 있다.[6]


파라볼라 안테나는 반사판의 모양에 따라서도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포물면형 (접시형):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 반사판이 원형 가장자리로 잘린 포물면 모양이다. 좁은 연필 모양의 빔을 방사한다.
  • 차폐형 접시형: 접시 가장자리에 원통형 금속 차폐물을 부착한 형태이다.[6] 측엽을 줄여,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는 여러 안테나가 가까이 있을 때 간섭을 방지한다. 차폐물 안쪽은 마이크로파 흡수재로 코팅되며, 후방엽 방사를 10dB까지 줄일 수 있다.[6]
  • 원통형: 반사판이 한 방향으로만 곡선이고 다른 방향은 평평하다. 전파는 한 점이 아닌 선을 따라 초점에 모이며, 피드는 다이폴 안테나가 사용되기도 한다. 곡선 방향으로는 좁고, 곡선이 아닌 방향으로는 넓은 부채꼴 빔을 방사한다. ''필박스 안테나'' 또는 ''치즈 안테나''라고도 불린다.
  • 형상 빔 안테나: 특정 형상의 빔을 생성하도록 설계된 반사 안테나이다.[7] 빔 형상 제어를 위해 형상 반사판, 피드 어레이 등의 기술이 사용된다.
  • 형상 반사판: 반사판을 비원형 모양으로 만들거나, 수평/수직 방향에서 다른 곡률을 갖도록 하여 빔 형상을 변경한다.
  • "오렌지 껍질" 안테나: 탐색 레이더에 사용되는 "C"자 모양의 길고 좁은 안테나로, 좁은 수직 부채꼴 모양의 빔을 방사한다.
  • 피드 어레이: 초점 주위에 여러 개의 피드 혼을 배열하여 임의 형상의 빔을 생성한다. 직접 방송 위성에서 특정 지역을 커버하는 다운링크 방사 패턴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다.


또한, 파라볼라 안테나는 전파 공급 방식(피드 유형)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6]

  • 축 방향, 주 초점, 또는 전면 피드: 가장 일반적인 유형으로, 피드 안테나가 빔 축상의 접시 앞쪽 초점에 위치하며 접시를 향해 뒤로 향한다.
  • 오프 액시스 또는 오프셋 피드: 반사판이 포물면의 비대칭 세그먼트이므로 초점과 피드 안테나는 접시의 한쪽에 위치한다.

2. 2. 포물반사면

2.5~2.7 GHz 주파수 대역의 다채널 다분배 서비스(MMDS)에서 사용되는 격자형 파라볼라 안테나. 편광화된 신호만을 반사하여 초점의 쌍극 안테나에 전달한다.


반사에 따른 파라볼라 안테나의 종류


포물반사면은 포물체의 일부를 이용하여 만들며, 주로 반사율이 높은 금속으로 제작된다. 대개 가장자리가 원형이 되도록 만든다.[26] "접시" 모양이 일반적이지만, 스크린이나 격자 등 다른 형태로 만들기도 한다. 반사면의 모양에 따라 전파의 진행 모양이 달라진다.

반사면의 크기는 최소한 이용 주파수의 파장보다 커야 한다.[31] 반사면이 클수록 더 많은 전파를 모을 수 있어 신호 수신에 유리하지만, 제작 비용도 함께 증가한다. 따라서 용도에 맞게 반사면의 크기를 조절한다. 가정용 위성 방송 수신 안테나는 45 - 55 cm 정도의 반사면을 사용하며,[32] 먼 우주에서 오는 전파를 수신하는 전파망원경은 매우 큰 반사면을 사용한다. 아레시보 천문대의 전파망원경 반사면 지름은 305m에 달한다.[33]

최대 이득을 얻으려면, 안테나의 여러 부분에서 나온 파가 초점에 위상이 맞춰 도달하도록 접시의 형태가 파장의 1/16 정도의 작은 분수 내에서 정확해야 한다.[3] 큰 접시는 종종 필요한 강성을 제공하기 위해 뒤쪽에 지지 트러스 구조물이 필요하다.

한 방향으로 정렬된 평행 와이어 또는 막대 그릴로 만들어진 반사판은 반사판일 뿐만 아니라 편광 필터 역할도 한다. 이는 그릴 요소와 평행한 전기장을 가진 선형 편파된 전파만 반사한다. 이러한 유형은 종종 레이더 안테나에 사용된다. 선형 편파 피드 혼과 결합하면 수신기의 잡음을 제거하고 잘못된 반사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반짝이는 금속 파라볼라 반사판은 태양 광선을 모을 수도 있다. 대부분의 접시는 태양을 향하게 되면 피드 구조물에 충분한 태양 에너지를 집중시켜 심하게 과열될 수 있으므로, 고체 반사판에는 항상 무광택 페인트를 칠한다.

2. 3. 피드 안테나

피드 안테나는 보통 쌍극 안테나나 피드 혼을 사용한다. 더 복잡한 방식으로는 초점 자리에 반사경을 달고 피드 안테나를 반사면 쪽으로 부착시키는 카스그랭 안테나가 있다.[4] 피드 안테나는 동축 케이블로 이루어진 전송선이나 도파관에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한다.[4]

마이크로파 주파수에서는 급전 안테나와 송신기 또는 수신기 사이에 마이크로파를 전달하기 위해 도파관이 필요하다. 도파관 배선의 높은 비용 때문에 많은 포물선 안테나에서 수신기의 RF 프런트 엔드 전자 장치는 급전 안테나에 위치하며, 수신된 신호는 더 저렴한 동축 케이블을 통해 수신기로 전달될 수 있도록 더 낮은 중간 주파수(IF)로 변환된다. 이를 저잡음 블록 다운컨버터라고 한다. 송신용 접시 안테나에서는 마이크로파 송신기가 급전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포물선 안테나는 안테나 구조의 대부분이 비공진이므로 광범위한 주파수에서 작동할 수 있다.[5] 작동 주파수를 변경하려면 원하는 주파수에서 작동하는 안테나로 급전 안테나를 교체하기만 하면 된다. 일부 포물선 안테나는 여러 개의 급전 안테나를 초점에 가깝게 장착하여 여러 주파수에서 송수신한다.

최대 이득을 얻으려면 송신 및 수신 피드 안테나가 모두 동일한 편광을 가져야 한다.[9] 예를 들어, 수직 다이폴 피드 안테나는 전기장이 수직인 전파 빔을 방출하는데, 이를 수직 편파라고 한다. 수신 피드 안테나도 이를 수신하려면 수직 편파를 가져야 한다.

데이터 전송률을 높이기 위해 일부 파라볼라 안테나는 별도의 피드 안테나를 사용하여 직교 편광을 가진 동일한 주파수로 두 개의 별도 무선 채널을 전송하는데, 이를 ''이중 편파 안테나''라고 한다. 예를 들어, 위성 텔레비전 신호는 우원 및 좌원 편파를 사용하여 동일한 주파수로 두 개의 별도 채널에서 위성으로부터 전송된다.

3. 역사

1888년 하인리히 헤르츠가 제작한 최초의 파라볼라 안테나


파라볼라 안테나의 기본 원리는 광학에서 가져온 것이다. 빛을 빔으로 모으는 파라볼라 거울의 능력은 고대부터 알려져 왔다. 파라볼라 안테나의 설계는 15세기 천문학자들이 발명한 반사망원경에서 유래한다.[34][26]

독일의 물리학자 하인리히 헤르츠는 1888년에 세계 최초의 파라볼라 반사 안테나를 제작했다.[26] 헤르츠의 안테나는 원통형으로 제작되었고, 초점의 피드 안테나로는 쌍극 안테나가 쓰였다. 안테나의 크기는 높이 2m, 폭 1.2m였고, 초점 거리는 0.12m였다. 헤르츠는 이 안테나를 사용하여 450MHz 주파수로 22년 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이 예언하였던 전자기파 복사를 입증하였다.[35] 그러나 초기의 전자기파 이용은 낮은 주파수 대역에서만 이루어졌기 때문에 파라볼릭 안테나 보다는 쌍극 안테나나 야기 안테나와 같은 형태의 것들이 더 유용하였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단파가 사용되기 시작하면서, 통신 거리를 늘리고 무선 전송을 도청으로부터 더 안전하게 하기 위해 지향성 안테나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1930년대에 들어 이탈리아의 라디오 기술 선구자 굴리엘모 마르코니는 UHF 대역을 사용한 무선 통신 실험을 위해 실용성 있는 파라볼라 안테나를 제작하였다.[34] 1931년에는 마이크로파 전송을 이용하여 영국 해협을 사이에 둔 무선 통신이 시연되었다. 이 실험을 위해 지름 3m의 파라볼라 안테나가 쓰였다.[34] 1937년 그로트 레버는 자신의 집 뒷마당에 지름 9m의 파라볼라 안테나를 세워 전파망원경을 만들었는데, 이는 포물반사면을 이용한 최초의 전파망원경이었다.[26] 이로서 레버는 전파천문학의 창립자가 되었다.[34]

제2차 세계대전 동안 군사용 레이다의 개발이 필요해지자 다양한 지향성 파라볼라 안테나가 개발되었다.[34] 전쟁 후에는 거대 전파 망원경들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으로 1962년 미국 웨스트버지니아 주에 세워진 지름 100m의 그린뱅크 망원경이 있다.[36]

1960년대에 들어 파라볼라 안테나는 방송 통신 각 영역에서 매우 넓게 사용되기 시작하였다.[34] 1962년 영국의 콘월주에 설치된 군힐리 위성지구국에는 최초의 위성 통신용 파라볼라 안테나가 설치되었다. 1963년 일본의 일본전신전화, KDDI, 미쓰비시 전기가 협력하여 최초의 카스그랭 안테나를 개발하였다.[37] 1970년대에 들어 컴퓨터 공학이 발달하면서 계산용 전자파 코드(Numerical Electromagnetics Code, NEC)가 개발되어 파라볼라 안테나의 설계에 많은 진전을 가져다 주었다.[38]

4. 이득

안테나의 이득은 등방성 복사체로부터 전송되는 신호를 수집하여 증폭하는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보통 dBi로 표현한다.[40] 파라볼라 안테나의 이득은 다음 공식으로 계산된다.

:G = \frac{4 \pi A}{\lambda^2}e_A = \left(\frac{\pi d}{\lambda}\right)^2 e_A


  • A : 반사면 구경의 넓이. 둘레가 원형인 포물반사면이라면 그 둘레가 만드는 원의 넓이가 된다.
  • d: 포물반사면의 지름
  • \lambda: 전파의 파장
  • e_A: 0에서 1 사이의 값을 갖는 무차원 인자로, "안테나 유효 구경"이라고 한다. 파라볼라 안테나의 e_A 값은 보통 0.55에서 0.70 사이이다.


위 식에서 볼 수 있듯이 안테나의 구경이 전파의 파장보다 크면 안테나는 원 신호보다 증폭된 이득을 가지며, 구경이 클수록 이득도 커진다. 예를 들어 전파천문학의 일반적인 주파수인 1.42 GHz (파장 21 cm)에서 25 m 구경의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하면 약 50 dBi (10만 배)의 이득을 기대할 수 있다.[41]

급전 안테나의 복사 패턴은 접시 형태에 맞춰 조정되어야 하는데, 이는 안테나 이득을 결정하는 ''구경 효율''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5] 급전 안테나에서 접시 가장자리 바깥으로 떨어지는 복사를 ''스필오버''라고 하며, 이는 낭비되어 이득을 감소시키고 후엽을 증가시켜 간섭을 유발하거나(수신 안테나의 경우) 지상 노이즈에 대한 감수성을 높일 수 있다.

최대 이득을 얻으려면 접시가 가장자리까지 일정한 전계 강도로 균일하게 "조명"되어야 한다. 따라서 급전 안테나의 이상적인 복사 패턴은 접시의 입체각 전체에 걸쳐 일정한 전계 강도를 유지하고, 가장자리에서 갑자기 0으로 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실제 급전 안테나의 복사 패턴은 가장자리에서 점차 감소하므로, 급전 안테나는 허용 가능한 낮은 스필오버와 적절한 조명 사이에서 절충해야 한다. 대부분의 전방 급전 혼의 경우, 급전 혼이 방출하는 전력이 접시 중앙의 최대값보다 접시 가장자리에서 10dB 낮을 때 최적의 조명이 달성된다.[5][8]

구경 효율 ''e''A는 안테나의 이득을 주어진 구경으로 달성할 수 있는 최대값보다 감소시키는 다양한 손실을 설명하는 변수이다. 파라볼라 안테나에서 구경 효율을 감소시키는 주요 요인은 다음과 같다.[13]

  • ''급전부 누설'': 급전 안테나에서 나오는 일부 복사가 접시 가장자리 바깥쪽으로 떨어져 주빔에 기여하지 않는다.
  • ''급전부 조명 테이퍼'': 모든 구경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복사 빔의 강도가 전체 구경 면적에 걸쳐 일정할 때만 달성된다. 그러나 급전 안테나의 복사 패턴은 일반적으로 접시의 바깥쪽으로 갈수록 줄어들기 때문에, 접시의 바깥쪽 부분은 더 낮은 강도의 복사로 "조명"된다.
  • ''구경 차단'': 빔 경로에서 접시 앞에 급전 안테나가 위치한 전면 급전 파라볼라 접시에서 급전 구조와 그 지지대가 빔의 일부를 차단한다.
  • ''형상 오차'': 반사판 형상의 임의의 표면 오차는 효율을 낮춘다.


반사 면적이 같을 경우, 이득은 사용 주파수의 제곱에 비례하며 지향성이 날카롭고, 측면이나 후방으로의 누설도 적다. 또한, 반사기 자체는 이득·빔폭 이외의 주파수 특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광대역이다.

4. 1. 이득과 가공 정밀도의 관계

이상적인 파라볼라 안테나 반사경에서 이득 변화는 반사경 정밀도의 제곱에 비례한다.

이득 변화를 dBi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21]

:\Delta G = 10log \left(\frac{G}{G_0}\right) = -C\left(\frac{\Delta e_{ems}}{\lambda}\right)^2

:C = 160\pi^2log_{10}(e)

이와 같이 요구되는 정밀도는 파장의 1/20~1/50 정도가 되며,[22] 면적이 커져도 변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열팽창과 중력의 영향은 커지기 때문에, 면적이 클수록 제조는 현저하게 어려워진다.

5. 파라볼라 안테나의 변형


  • '''오프셋 파라볼라 안테나'''(오프액시스 파라볼라 안테나): 위성 방송용 수신 안테나에서 자주 볼 수 있는 타원형 안테나이다. 반사기는 포물면의 일부를 잘라낸 것이며, 평행하게 된 빔을 1차 방사기 및 그 지지물이 가리지 않아 소형 안테나로 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방사기를 하부에 배치하면 거울면이 수직에 가까워져서 적설을 억제할 수 있다.[6] 거울면이 수직에 가까워지면 상대적으로 수평 하중이 경감되므로, 반사기 풍압 면적 확대로 인한 하중 증가를 보완하여도 지지대(페데스탈)의 점유 면적 및 구조 축소가 기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SNG중계차에서도 이용된다.
  • '''혼 리플렉터 안테나''': 1차 방사기에 혼 안테나를 사용하는 방식이다.

6. 응용 분야

파라볼라 안테나는 주로 극초단파(UHF)보다 짧은 파장의 전파(주로 센티미터파(SHF))에서 사용되며, 다중 무선 통신, 위성 통신, 위성방송(일명 BS·CS), 전파 천문학에 사용된다.[1]

반사경 지름은 용도에 따라 다른데, 위성방송 수신만을 위한 가정용은 작고(2m 이하), 지구상의 다중 무선 통신 등은 0.75~수 m, 통신 위성에 직접 송수신을 하는 지구국에서는 수십 m에 이르는 것도 있다.[1]

1990년대 초반까지 극초단파대에서 사용되었을 때는, 복사기를 반파장 다이폴, 주 복사 방향에 복사기보다 약간 짧은 도파관, 그리고 반사경만을 포물면이고 격자 모양으로 한 그리드 파라볼라 안테나(즉, 반사경 이외는 야기 안테나와 같다)로 하는 경우가 많았다.[1]

그리드 파라볼라 안테나의 주요 용도는 400MHz 대역 다중 무선 통신용 고정 회선이었다.[1]

7. 특징


  • 반사 면적이 같을 경우, 이득은 사용 주파수의 제곱에 비례한다.
  • 지향성이 날카롭고, 측면이나 후방으로의 누설도 적다.
  • 반사기 자체는 이득, 빔폭 이외의 주파수 특성을 가지지 않으므로, 광대역이다.

8. 기타

국립천문대 등에서는 전파천문학 과학 실험으로 중국식 웍의 포물면을 이용한 파라볼라 안테나로 BS 방송 수신 실험을 소개하고 있다.[23]

2007년 9월 22일에 용의자가 체포된 인터넷 경매 사기 사건에서, 용의자가 알루미늄박으로 만든 지름 30cm 정도의 파라볼라 안테나를 사용하여 다른 가정이나 사무실에 있는 라우터무선랜을 잡아 인터넷에 접속함으로써 IP 주소로 개인을 특정하기 어렵게 했다고 보도되었다. 참고로, 이러한 파라볼라 안테나나 이와 유사한 형태의 금속제 볼 등의 구조물로 자신이나 동거인이 운용하고 있는 무선랜이나 모바일 데이터 통신[24]의 수신 강도를 개선하는 기술 자체는 그다지 드물지 않다.

지상 디지털 방송 수신을 위해 거의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 파라볼라 안테나는 케이블 텔레비전 수신소나 텔레비전 방송국 중계국에서 본국으로부터의 신호를 받는 데 사용되거나, 전기 공사 회사가 시연용으로 설치하기도 한다. 파라볼라 안테나는 지향성이 매우 강해 스필오버(디지털 텔레비전 지상파에서 보이는 고의적인 혼신)나 이상 전파 등에 의한 혼신을 야기 안테나를 수평으로 스택하는 것보다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파라볼라 안테나는 수신하는 전파의 파장이 길수록 성능이 저하되고, 안정적인 수신에 필요한 크기가 커지기 때문에, BS에 비해 파장이 15배 이상 긴 지상파의 파라볼라 안테나는 비용, 크기, 중량 면에서 개인에게는 매우 어려운 과제이다. 참고로, 아날로그 방송 시대에는 당시 VHF 대역을 사용하던 텔레비전 방송국의 본국 수신을 위해 UHF용 파라볼라 안테나보다 더 큰 파라볼라 안테나가 설치된 텔레비전 중계국도 있었다.

과거, NEC 홈일렉트로닉스(日本電気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는 BS 방송 수신 시스템 브랜드로 파라볼라 안테나에서 유래한 “파라볼라(パラボーラ)”를 사용했다.

참조

[1] 서적 The ARRL Antenna Book, 19th Ed. American Radio Relay League
[2] 서적 Antenna Theory and Design, 3rd Ed.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
[3] 서적 Antennas and Wave Propagation https://books.google[...] Pearson Education India 2006
[4] 서적 Practical Antenna Handbook, 5th Ed. https://wiki.la-com.[...] McGraw-Hill 2012
[5] 웹사이트 The Parabolic Reflector Antenna https://www.antenna-[...] Antenna-Theory.com website 2011-09-04
[6] 서적 Microwave transmission networks: Planning, Design, and Deployment https://books.google[...] McGraw Hill Professional
[7] 서적 Microwave Horns and Feeds https://books.google[...]
[8] 서적 The ARRL Antenna Book, 19th Ed. American Radio Relay League
[9] 서적 Introduction to RF Propagatio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and Sons 2005
[10] 학술지 Design of dual-reflector antennas with arbitrary phase and amplitude distributions IEEE
[11] 학술지 RF Design and Predicted Performance for a Future 34-Meter Shaped Dual-Reflector Antenna System Using the Common Aperture XS Feedhorn http://tmo.jpl.nasa.[...]
[12] 서적 Fixed broadband wireless system desig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13] 서적 Satellite systems: principles and technologies https://books.google[...] Springer
[14] 서적 Satellite Systems Engineering in an IPv6 Environment https://books.google[...] CRC Press
[15] 서적 Antennas for all applications https://books.google[...] McGraw-Hill 2002
[16] 서적 Introduction to Theoretical Physics https://archive.org/[...]
[17] 서적 Microwave horns and feeds https://books.google[...] IET
[18] 웹사이트 Large Space Antenna Concepts for ESGP https://ntrs.nasa.go[...] Rockwell International 2009-07-31
[19] 학회발표 Historical review of reflector antenna systems developed for satellite communication by MELCO http://ap-s.ei.tuat.[...] Mitsubishi Electric Corp. 2006
[20] 서적 Fixed broadband wireless system desig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1] 학술지 Surface Error Measurements of Reconfigurable Antennas Based on Antenna Gain Analyses https://doi.org/10.2[...] 2008
[22] 웹사이트 ISAS 衛星構造の高精度化 / 宇宙科学の最前線 https://www.isas.jax[...] 2020-09-18
[23] 웹사이트 「アルマーの冒険」第3回 https://www.nao.ac.j[...] 국립천문대 2019-10-08
[24] 문서 파라볼라 안테나 크기와 주파수의 관계
[25] 서적 The ARRL Antenna Book, 19th Ed. American Radio Relay League
[26] 서적 Antenna Theory and Design, 3rd Ed.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2012
[27] 웹사이트 임피던스 정합 http://www.ktword.co[...] KT
[28] 서적 Microwave transmission networks: Planning, Design, and Deployment McGraw Hill Professional
[29] 웹사이트 Offset-fed Parabolic Dish Antennas http://www.qsl.net/n[...]
[30] 학회발표 Historical review of reflector antenna systems developed for satellite communication by MELCO http://ap-s.ei.tuat.[...] Mitsubishi Electric Corp. 2006
[31] 웹사이트 통신 이론의 기본 사항 http://ocw.dongyang.[...]
[32] 웹사이트 위성안테나크기 http://www.sekisat.c[...] Vision TV
[33] 뉴스 Astrophysicist Robert Brown, leader in telescope development, named to head NAIC and its main facility, Arecibo Observatory http://www.news.corn[...] Cornell University 2003-01-21
[34] 서적 Microwave horns and feeds https://books.google[...] IET
[35] 웹사이트 Large Space Antenna Concepts for ESGP http://ntrs.nasa.gov[...] Rockwell International 2009-07-31
[36] 웹사이트 Proposing for the GBT https://science.nrao[...] 2016-11-01
[37] 콘퍼런스 Historical review of reflector antenna systems developed for satellite communication by MELCO http://ap-s.ei.tuat.[...] Mitsubishi Electric Corp. 2006
[38] 웹사이트 Simulation of Wire Antennas using 4NEC2 http://www.qsl.net/4[...]
[39] 서적 Modern Communications Receiver Design and Technology https://books.google[...] Artech House
[40] 서적 Fixed broadband wireless system design https://books.google[...] John Wiley & Sons
[41] 문서 데시벨(dB) 설명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